맨위로가기

랭글랜즈 프로그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하리시-찬드라와 겔판트의 "첨점 형식의 정신"을 기반으로 하는 수학적 연구 프로그램으로, 수론과의 직접적인 연결을 제시하고 풍부한 구조를 제안한다. 이 프로그램은 가약군 표현, 보형 형식, L-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대상을 다루며, 이차 상호 법칙을 일반화한 아르틴 상호 법칙을 출발점으로 한다. 랭글랜즈 추측은 갈루아 표현과 보형 형식 사이의 관계를, 함자성 추측은 L-군의 준동형 사상과 보형 형식 또는 표현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제시한다. 현재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국소 랭글랜즈 추측과 기본 보조 정리 증명 등의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해석적 정수론과 대수기하학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고, 소수 분포, 디오판토스 방정식, 대수적 다양체 등의 연구에 기여하며, M-이론과의 연관성 또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형 형식 - 초기하함수
    초기하함수는 초기하 미분 방정식의 해로 나타나며, 초기하급수의 수렴 시 정의되고, 지수 함수, 기하급수, 베셀 함수 등 특수한 함수로 표현되며, 미분 및 모노드로미 등과 관련하여 연구된다.
  • 보형 형식 - 랭글랜즈 쌍대군
    랭글랜즈 쌍대군은 근 데이터로부터 정의되는 쌍대 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랭글랜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갈루아 군의 표현과 리 군의 표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오토모픽 형식과 갈루아 표현 사이의 대응 관계 연구 및 4차원 양-밀스 이론의 전기-자기 이중성과 관련되어 활용된다.
  • 수학사 - 기하학사
    기하학사는 고대 문명의 실용적 필요에서 발생한 기하학이 그리스에서 연역적 체계를 갖춘 학문으로 발전하고 해석기하학, 비유클리드 기하학, 위상수학 등으로 확장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변천 과정을 다룬다.
  • 수학사 - 베르누이가
    16세기부터 스위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베르누이가는 니콜라우스 베르누이를 시조로 야코프, 요한, 다니엘 베르누이 등 수많은 학자를 배출하며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베르누이 수, 베르누이의 원리 등 다양한 개념과 법칙을 정립하여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가문이다.
  • 추측 - P-NP 문제
    P-NP 문제는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P와 NP 복잡도 종류의 관계에 대한 미해결 문제로, 컴퓨터 과학과 수학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암호학, 최적화,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추측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은 타원 곡선의 유리점 구조와 L-함수 특성 간의 관계를 추측하는 미해결 문제로, 타원 곡선의 랭크가 L-함수의 s=1에서의 영점 차수와 같다고 주장하며,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이다.
랭글랜즈 프로그램
개요
이름랭글랜즈 프로그램
분야수학, 정수론, 표현론, 대수기하학
제안자로버트 랭글랜즈
발표 시기1967년 (비공식), 1970년대 (공식)
목표정수론의 문제와 표현론의 문제를 연결
갈루아 군의 표현과 보형 형식 연결
수학의 여러 분야를 통합하는 거대한 연결망 구축
중요성현대 수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
많은 수학자들의 연구를 이끌고 있음
관련 개념보형 형식
갈루아 군
L-함수
표현론
역사
기원로버트 랭글랜즈가 1967년 앙드레 베유에게 보낸 편지에서 시작
발전1970년대 이후 많은 수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
주요 결과랭글랜즈 프로그램의 여러 특수한 경우가 증명됨
미해결 문제랭글랜즈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형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
주요 내용
국소 랭글랜즈 추측국소체의 갈루아 군의 표현과 특정 대수군의 표현 사이의 관계를 다룸
전역 랭글랜즈 추측수체의 갈루아 군의 표현과 보형 형식 사이의 관계를 다룸
폰테인-마주어 추측갈루아 표현과 모듈러 형식 사이의 관계를 다룸
영향
수학 분야정수론
표현론
대수기하학
해석학
응용 분야암호학
이론물리학
관련 인물
주요 연구자로버트 랭글랜즈
앙드레 베유
피에르 들린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로랑 라포르그
응오 바오 차우
참고 자료
관련 서적(영어) Gelbart, Stephen. "An Elementary Introduction to the Langlands Program".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0.2 (1984): 177-219.
관련 논문(영어) Langlands, Robert (1967). Letter to André Weil.

2. 배경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하리시-찬드라와 겔판트가 제시한 "첨점 형식의 철학", 셀베르그 등의 자취 공식과 같은 기존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19]

랭글랜즈의 연구는 수론과의 연결을 제시하고, 풍부한 구조(소위 ''함자성'')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리시-찬드라의 원리에 따라, 모듈러 형식 이론에서 GL(2)의 역할, 류수론에서 GL(1)의 역할을 인식하고, 일반적인 ''n'' > 2에 대한 GL(n)에 대한 고찰로 확장되었다.

''첨점 형식'' 아이디어는 모듈러 곡선의 첨점에서 나왔으며, 아이젠슈타인 급수의 "연속 스펙트럼"과 대조되는 "불연속 스펙트럼"으로 가시적인 의미를 가졌다. 포물선 부분 군이 더 많기 때문에 더 큰 리 군에 대해 훨씬 더 기술적으로 복잡해진다.[2]

이러한 접근 방식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레비 분해 등에 기반을 둔 귀납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2]

모듈러 형식의 측면에서는 힐베르트 모듈러 형식, 지겔 모듈러 형식, 세타 급수와 같은 예가 있었다.

3. 대상

하리시-찬드라와 겔판트가 공식화한 '첨점 형식의 정신'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구축된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반단순 리 군에 대한 하리시-찬드라의 작업 및 접근 방식과 셀베르그 등의 대각합 공식을 바탕으로 한다. 랭글랜즈의 작업은 기술적인 깊이뿐만 아니라 수론과의 직접적인 연결 및 풍부한 구조 (''함자성'')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새로웠다.[19]

하리시-찬드라의 작업에서 반단순 또는 가약인 리 군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은 모두에 대해 수행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text{GL}(2)와 같은 저차원 리 군의 역할이 인식되고 유체론에서 \text{GL}(1)과 함께 \text{GL}(n)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첨점 형식'' 아이디어는 모듈러 곡선의 첨점에서 나왔지만, 스펙트럼 이론에서 아이젠슈타인 급수의 "연속 스펙트럼"과 대조되는 "불연속 스펙트럼"으로 가시적인 의미를 가졌다. 포물선 부분 군이 더 많기 때문에 더 큰 리 군에 대해 훨씬 더 기술적으로 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는 레비 분해에 기반을 둔 귀납적 방법 등 기술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힐베르트 모듈러 형식, 지겔 모듈러 형식, 세타 함수와 같은 모듈러 형식이 예시로 사용되었다.

랭글랜즈 추측은 다양한 분야와 군에 걸쳐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20] 일부 버전은 랭글랜즈 군과 같이 존재가 불분명하거나, L-군과 같이 여러 정의가 존재하는 대상에 의존한다. 랭글랜즈 추측은 1967년 처음 제시된 이후 계속 발전해 왔다.[3]

랭글랜즈 추측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 국소체에 대한 가약군 표현 (아르키메데스 국소체, ''p''-진 국소체, 함수 체 완비 포함)
  • 대역체 위의 환원군에 대한 보형 형식 (숫자 체 또는 함수 체)
  • 유한 체 (랭글랜즈는 원래 고려하지 않았지만 유사점이 존재)
  • 복소수에 대한 함수 체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체


랭글랜즈 추측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국소체 위의 환원군의 표현. 국소체에는 아르키메데스 국소체 ('''R''' 또는 '''C'''), ''p''-진 국소체 ('''Q'''''p''의 유한 차 확대), 함수체의 완비화 (유한체 위의 형식 로랑 급수체 ''F''((''t''))의 유한 차 확대) 등이 있다.
  • 대역체 위에서 정의된 환원대수군 위의 보형 형식. 대역체에는 대수적 수체나 대수적 함수체 등이 있다.
  • 유한체. 랭글랜즈는 이를 예상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랭글랜즈 예상과 유사한 유한체에 대한 것이 존재한다.
  • 복소수체 위의 함수체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체.

4. 추측

랭글랜즈 추측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군이 존재하며, 각 분야마다 서로 다른 버전의 추측이 존재한다.[20] 일부 랭글랜즈 추측은 모호하거나, 아직 존재가 증명되지 않은 랭글랜즈 군과 같은 대상, 또는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는 L 군에 의존한다. 1967년 랭글랜즈가 처음 추측을 제시한 이후, 내용은 계속 발전해 왔다.

랭글랜즈 추측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대상에 대해 제시될 수 있다.


  • 국소체에 대한 가약군 표현 (아르키메데스 국소체, ''p''-진 국소체, 함수 체 완비 등)
  • 대역체 (수체 또는 함수 체)에 대한 환원 군의 보형 형식
  • 유한체 (원래 랭글랜즈는 고려하지 않았지만, 유사한 추측이 존재함)
  • 복소수 위 함수 체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체


랭글랜즈 추측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완전히 동등하지는 않은 여러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랭글랜즈가 처음 추측을 제시한 이후, 내용은 계속 발전해 왔다. 랭글랜즈 추측은 다양한 체 위에서 다양한 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체는 추측의 여러 가지 버전을 제공한다.[3]

랭글랜즈 추측을 언급할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 국소체 위의 환원대수군의 표현. (아르키메데스 국소체, ''p''-진 국소체, 함수체의 완비화 등)
  • 대역체 위의 환원대수군 위의 보형 형식. (대수적 수체, 대수적 함수체 등)
  • 유한체. (랭글랜즈는 예상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유한체에 대한 유사한 추측이 존재)
  • 복소수체 위의 함수체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체.


랭글랜즈 예상의 내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이들의 동치성은 명확하지 않다.

4. 1. 상호 법칙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핵심은 상호 법칙에 대한 이해이다. 랭글랜즈는 에밀 아르틴상호 법칙을 확장하여, 갈루아 군아벨인 경우뿐만 아니라 비가환 갈루아 군 및 고차원 표현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했다.

아르틴 상호 법칙은 갈루아 군의 1차원 표현에 L-함수를 할당하고, 이 함수가 헤케에서 구성된 디리클레 L-급수 또는 더 일반적인 급수와 동일하다고 설명한다. 랭글랜즈는 디리클레 L-함수의 일반화를 통해 아르틴의 주장을 확장했다.

에리히 헤케는 디리클레 L-함수를 상반평면에서 특정 함수 방정식을 만족하는 보형 형식과 연결시켰다. 랭글랜즈는 이를 일반선형군 GL(n)의 첨점 보형 형식 표현으로 일반화하여, 아르틴 L-함수를 일반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랭글랜즈는 갈루아 표현에 보형 형식 L-함수를 붙였고, 수체의 아르군의 유한 차원 표현에서 발생하는 모든 아르틴 L-함수는 첨점 보형 형식 표현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다고 추측했다.

국소체와 대역체에서 상호 법칙 추측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국소체: 국소체 위의 환원군의 허용 가능한 기약 표현의 L-패킷을 매개변수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대역체: 보형 형식을 매개변수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4. 1. 1. 보형 형식론

에리히 헤케디리클레 ''L''-함수보형 형식('''C''']의 상반 평면에서 특정 함수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과 관련시켰다. 랭글랜즈는 이를

4. 2. 함자성

L-군의 적절한 준동형 사상이 보형 형식(대역적인 경우) 또는 표현(국소적인 경우) 사이의 대응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3] 랭글랜즈 상호 법칙 추측은 가약군 중 하나가 자명할 때 함자성 추측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러한 모든 추측은 대수적 수체(근원이자 가장 중요한 체), 국소체, 그리고 함수 체(\mathbb{F}_p(t)의 유한 확장, \mathbb{F}_p(t)는 위수가 ''p''인 유한체에 대한 유리 함수의 체)에 대해 공식화할 수 있다.

4. 2. 1. 일반화된 함자성

랭글랜즈는 함자성 개념을 일반화하여, 일반 선형군 GL(n) 대신 다른 연결 환원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했다. 또한, 그러한 군 ''G''가 주어지면 랭글랜즈 쌍대군 ''LG''를 구성하고, ''G''의 모든 보형 첨점 표현과 ''LG''의 모든 유한 차원 표현에 대해 ''L''-함수를 정의한다.[3] 그의 추측 중 하나는 이러한 ''L''-함수가 다른 알려진 ''L''-함수의 방정식을 일반화하는 특정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고 말한다.[3]

그는 아주 일반적인 "함자성 원칙"을 공식화했다. 두 개의 환원군과 해당 ''L'' 군 사이의 (얌전한) 사상이 주어지면, 이 추측은 그들의 ''L'' 함수와 호환되는 방식으로 그들의 보형 형식 표현을 관련시킨다.[3] 이 함자성 추측은 지금까지 제시된 다른 모든 추측을 함축하며, 유도 표현 구성의 본질이다.[3] 보다 전통적인 보형 형식 이론에서 특별한 경우에 알려진 '올림'이라고 불렸으며 공변이다(제한된 표현은 반공변이다).[3] 직접 구성을 지정하려는 시도는 일부 조건부 결과만 생성했다.[3]

4. 3. 기하학적 추측

블라디미르 드린펠트의 아이디어를 따라 제라르 로몽이 제안한 기하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랭글랜즈 프로그램을 기하학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간단한 경우에 대수 곡선에탈 기본 군의 l|-진 표현영어을 곡선 위의 선형 다발의 모듈라이 스택에 있는 l|-진 층영어유도 범주의 대상과 관련시킨다.[4][5][6][7]

5. 현재 상황


  • GL(1, ''K'')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은 유체론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 랭글랜즈는 실수복소수에 대한 랭글랜즈 분류를 통해 아르키메데스 국소체 위의 군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했다.
  • 유한체 위의 리 유형 군의 기약 표현에 대한 루스틱의 분류는 유한체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의 유사체로 간주될 수 있다.
  • 앤드루 와일스의 유리수체 위 반안정 타원 곡선의 모듈성 증명은 타원 곡선에서 발생하는 갈루아 표현을 모듈 형식과 관련시키는 것이 핵심 아이디어이므로 랭글랜즈 상호성 추측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와일즈의 결과는 여러 방향으로 일반화되었지만, \text{GL}(2,\mathbb{Q})에 대한 전체 랭글랜즈 추측은 여전히 증명되지 않았다.
  • 1998년 로랑 라포르그는 함수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text{GL}(n,K)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을 검증하는 라포르그 정리를 증명했다. 이는 1980년대에 \text{GL}(2,K)의 경우를 증명한 드린펠트의 초기 연구를 계승한다.
  • 2018년 뱅상 라포르그는 전역 함수체 위의 연결된 환원 군에 대한 전역 랭글랜즈 대응(보형 형식에서 갈루아 표현으로의 방향)을 확립했다.[21][22]

5. 1. 국소 랭글랜즈 추측

\text{GL}(1,K)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은 유체론과 같다고 볼 수 있다.

필립 쿠츠코는 1980년에 국소체에 대한 일반 선형 군 \text{GL}(2,K)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했다.[21]

제라르 라우몬, 마이클 라포포트, 울리히 스툴러는 1993년에 표수가 양수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 군 \text{GL}(n,K)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했다. 이들의 증명은 대역적 주장을 사용한다.[22]

마이클 해리스와 리처드 테일러는 2001년에 특성 0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 군 \text{GL}(n,K)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했다.[21] 가이 헤니아트는 2000년에 또 다른 증명을 제시했다.[22] 두 증명 모두 대역적 주장을 사용한다. 피터 숄체는 2013년에 또 다른 증명을 제시했다.[22]

5. 2. 기본 보조정리

응오바오쩌우는 1983년 랭글랜즈와 Shelstad가 처음 추측했고, 랭글랜즈 프로그램에서 몇 가지 중요한 추측을 증명하는 데 필요한 "기본 보조정리"를 2008년에 증명했다.[23][24]

6. 시사점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일반인은 물론이고, 이 분야를 연구하지 않는 수학자에게도 그 추상성을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랭글랜즈 추측이 증명되거나 반증될 경우, 이는 수학에 강력하고 명확한 영향을 미친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해석적 정수론과 대수기하학의 일반화 사이의 강력한 연결을 가정한다. 수체의 추상 대수 표현과 해석적 소수 구성 사이의 '함자성' 아이디어는 소수 분포를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강력한 함수 도구를 생성한다. 이는 디오판틴 방정식 분류대수함수의 추상화를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일반화된 대수상호 법칙이 존재하고 그들의 해석적 함수가 잘 정의된다면, 타원 곡선의 유리해, 대수적 다형체의 위상 구성, 리만 가설 등 수학에서 매우 심오한 결과들이 증명될 수 있다.[13] 이러한 증명은 숫자 체 구조 내의 불변성과 관련된 일반화된 해석적 급수의 객체에서 추상적 해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랭글랜즈 프로그램과 물리학의 M이론 사이의 연결은 쌍대성을 통해 초끈 이론에서 잠재적인 해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는 군론에서 가공할 헛소리를 통해 수행된 것과 유사하다.)

요약하자면, 랭글랜즈 프로젝트는 기하학적 형식에 포함된 해석 함수를 사용하여 대수 방정식의 해에서 고차 일반화를 통해 수학의 근본적인 영역을 다루는 깊고 강력한 틀을 의미한다. 이는 강력한 해석적 방법을 통해 다양한 수학 분야를 통합할 수 있게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ath Quartet Joins Forces on Unified Theory https://www.quantama[...] 2015-12-08
[2] 서적 Love & Math https://archive.org/[...] 2013
[3] 간행물 Love and Math: The Heart of Hidden Realit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4] 웹사이트 Proof of the geometric Langlands conjecture https://people.mpim-[...] 2024-08-19
[5] arXiv Proof of the geometric Langlands conjecture I: construction of the functor 2024-05
[6] arXiv Proof of the geometric Langlands conjecture II: Kac-Moody localization and the FLE 2024-05
[7] 웹사이트 Monumental Proof Settles Geometric Langlands Conjecture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24-07-19
[8] 웹사이트 Shtukas for reductive groups and Langlands correspondence for function fields http://www.icm2018.o[...]
[9] 저널 Chtoucas pour les groupes réductifs et paramétrisation de Langlands https://www.ams.org/[...]
[10] conference La paramétrisation de Langlands globale sur les corps des fonctions (d'après Vincent Lafforgue) https://webusers.imj[...] 2016-01
[11] 저널 Le lemme fondamental pour les algèbres de Lie
[12] 저널 Les débuts d'une formule des traces stable http://www.sunsite.u[...] Université de Paris
[13] arXiv The Riemann Hypothesis over Finite Fields: From Weil to the Present Day 2015-09-02
[14] 서적 Love & Math 2013
[15] 간행물 Love and Math: The Heart of Hidden Realit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6] 간행물 Ngô Bao Châu, sommité mondiale des maths http://lecourrier.vn[...] Le Courrier du Vietnam 2009-02-15
[17] 간행물 Les débuts d'une formule des traces stable http://www.sunsite.u[...] Université de Paris VII U.E.R. de Mathématiques
[18] 웹인용 Math Quartet Joins Forces on Unified Theory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15-12-08
[19] 서적 Love & Math https://archive.org/[...] 2013
[20] 인용 Edward Frenkel Basic Books
[21] 웹인용 Shtukas for reductive groups and Langlands correspondence for function fields http://www.icm2018.o[...] 2023-06-30
[22] 저널 Chtoucas pour les groupes réductifs et paramétrisation de Langlands https://www.ams.org/[...]
[23] 저널 Le lemme fondamental pour les algèbres de Lie
[24] 저널 Les débuts d'une formule des traces stable http://www.sunsite.u[...] Université de Par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